Skip to main content

Posts

[6월호, 2021년] #55 Coding for Environment - 7기 정윤호

Coding for Environment SDP 7 기 정윤호   최근 테슬라 CEO 인 일론 머스크가 과도한 전력 소모로 인한 환경파괴를 이유로 테슬라 차량 구매시 비트코인 결제를 허용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가 번복하는 일이 있었습니다 . 실제로 케임브리지 연구진은 비트코인으로 인해 연간 115.54TWH 의 전력이 소비되고 있음을 밝혔습니다 [1] . 그렇다면 비트코인이 왜 전력을 소모하는 것일까요 ?

[6월호, 2021년] #54 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을 위한 구조적 제안 - 7기 조희승

  플라스틱 폐기물 재활용을 위한 구조적 제안 조희승 Precious Plastic Network Precious Plastic 은 원래 창립자인 Dave Hakkens 가 운영하던 플라스틱 재활용 네트워크 Dave Hakkens.nel 이었습니다 . 그러나 2020 년 하켄스는 프레셔스 플라스틱 네트워크가 창립자 개인만의 노력보다 그 네트워크를 이루는 다수의 사람들의 협업으로 이루어진다는 생각해 , 자신의 이름만을 내걸고 네트워크를 운영하지 않겠다는 다짐을 하였습니다 . 이에 따라 2020 년 원래 웹사이트를 종료하고 Precious Plastic Network 라는 이름으로 재단장하여 네트워크를 운영하게 되었습니다 .

[Tech Team Insight #7] 산넘고 물건너 가는 먹거리 프로젝트 - 7기 정윤호, 김유림

  제목 : 산넘고 물건너 가는 먹거리 프로젝트 작성자 : 7 기 정윤호 , 김유림   이번 4 월 테크 인사이트에서는 조금 말랑말랑한 주제를 다뤄 보려 합니다 . 아직 진행 중인 프로젝트이긴 하지만 , SDP 테크팀이 ‘ 먹거리 ’ 프로젝트를 진행하며 겪었던 여러 기술적인 한계들과 이를 해결한 방법들에 대한 이야기를 들려 드리고자 합니다 . 직관적인 작명에서 알 수 있듯 먹거리 프로젝트는 우리가 매일매일 소비하는 먹거리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 이미 영양정보 , 건강정보 , 가격정보를 제공하는 서비스는 많이 있습니다 . 저희가 제공하고자 한 정보는 바로 먹거리의 환경영향정보인데 , 이러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현대 식량 시스템이 야기하는 환경 문제에 대한 인식을 제고하고 , 해결책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습니다 .

[6월호, 2021년] #53 Hey Siri, Am I Depressed?: Digital Phenotyping and Mental Health - 7기 김유진

  Hey Siri, Am I Depressed?: Digital Phenotyping and Mental Health 7 기 김유진 (Yoojin Kim) Mental Health in South Korea https://theconversation.com/people-with-severe-mental-illness-live-shorter-lives-but-the-solution-isnt-simple-127397   According to a 2021 report by the Korea Development Institute (KDI), South Korea has placed number 35 out of the OECD’s 37 member countries in their happiness level: almost becoming the unhappiest country among them (Choi, 2021). The reasons included excessive working hours, economic inequality, poor air quality, and more. On top of that, the outbreak of COVID-19 has dramatically triggered Korean young adults to question their career futures, hence, increased the rate of depression, self-harming, and suicide (Ryall, 2020). Despite the Korean people’s poor mental state, however, the prevalence of depression diagnosis and adequate treatment is substantially low (3.1%) compared to the average of other countries (7.2%) (Kim et al., 2...

[6월호, 2021년] #52 #WhatIsHappeningInMyanmar - 6기 윤여경

  # WhatIsHappeningI nMyanmar 2021년 5월 , 미얀마 SDP 6 기 윤여경     얼마 전 5월 18일, 올해로 41주년을 맞은 광주 민주화 운동 기념일에는 유독 울컥하는 마음이 들었다. 미얀마 군사 쿠데타가 발발한 지 100일하고도 일주일이나 지난 날이었기 때문이다. 그리고 아이, 여성, 노인을 포함한 무고한 시민들의 누적 사망 건수가 800건에 막 육박하던 날이었다. 1980년 ‘광주의 오월’이 광주 시민들에게 남긴 상처가 채 아물기도 전에, 2021년 지금 미얀마에서 끔찍한 역사가 쓰이고 있다는 것은 믿기 어려운 현실이다.

[6월호, 2021년] #51 Do you know Jeong-in? - 6기 장윤설

Do you know Jeong-in? On October 13th, 2020, a 16-month-old baby, Jeong-in, was pronounced dead from severe abdominal injuries and internal bleeding. When the baby arrived in the emergency room, there were bruises, numerous fractured bones, and wounds on her head. The autopsy by the National Forensic Service revealed that Jeong-in’s injuries originated from strong external forces. After further investigation, the mother was charged with murder and child abuse, while the father faced negligence charges [1] .  

[6월호, 2021년] #50 “If you’re not paying for the product, then you are the product” -Based on Netflix: The Social Dilemma-(Rhodes, 2020) - 6기 이수현

  “If you’re not paying for the product, then you are the product” -Based on Netflix: The Social Dilemma-(Rhodes, 2020) 6기 이수현 대부분 사람들이 인스타그램 계정이 있는 요즘 . 인스타그램을 어느 정도로 활용하는지는 사람마다 다르겠지만 , 의도했던 것보다 더 많은 시간과 집중력을 인스타그램에 쏟게 된 경험이 누구나 한 번쯤은 있을 것이다 . 혹은 인스타그램으로 인해 다른 사람을 부러워하거나 , 중간에 올라오는 맞춤형 광고로 인해 굳이 필요 없는 소비를 하게 된 경험이 있을 수도 있다 . 이런 자신의 모습을 보면 본인의 의지력이 약하다고 생각할 수도 있겠지만 이런 문제가 지극히 개인적인 일만은 아니다 . 인스타그램 사용자 누구나 겪는 보편적인 경험이기 때문이다 . 따라서 인간이 왜 인스타그램에 중독될 수밖에 없는지 , SNS 중독이 실질적으로 우리 건강에 미치는 영향 , 그리고 이에 대한 해결방안을 살펴보고자 한다 .

[6월호, 2021년] #49 당신의 장바구니는 정말 녹색일까요 - 7기 박주미

 당신의 장바구니는 정말 녹색일까요 7기 박주미   MZ 세대의 장바구니가 그 전 세대와 두드러지게 다른 점이 있다면 바로 ‘ 미닝아웃 (Meaning Out)’ 소비가 아닐까 합니다 . 미닝아웃은 신념을 뜻하는 Meaning 과 정체성을 들어낸다는 Coming out 이 합쳐 , 소비를 통해 자신의 신념을 보여주는 현상에 대한 신조어입니다 . 예를 들어 , 최근 환경을 고려한 소비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습니다 . 식품산업통계정보시스템의 조사에 따르면 , 66.3% 의 소비자가 식품 포장재의 친환경 여부를 제품 구매 결정에 반영한다고 합니다 . 또한 , 제품 구매 시 환경 영향을 고려한다는 소비자가 2019 년 71% 에서 2020 년 83% 까지 증가했습니다 . [1] 이는 환경 보호가 지속가능개발목표에서도 큰 부분을 차지하는 만큼 전 인류를 위해 바람직해 보입니다 . 하지만 우리는 이쯤에서 스스로에게 질문을 던져 볼 필요가 있는 것 같습니다 . 우리가 친환경적이라고 믿고 산 그 제품 , 정말 환경 보호에 도움이 될까요 ?

[6월호, 2021년] #48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 6기 김송이

  지속가능한 스마트도시 6기 김송이 ‘ 스마트도시 ’ 라는 표현이 더 이상 어색하지 않은 시대입니다 . 지난 달 세종시에서는 스마트시티 국제포럼을 성황리에 개최하기도 했습니다 . 다양한 국가와 사업주체가 참여하는 모습을 보니 스마트도시는 더 이상 멀리 있는 일이 아닌 듯 느껴집니다 . 그러나 스마트도시는 실제로 무엇을 가리키는 표현일까요 ? 똑똑한 도시라는 말이 무슨 뜻인지 와 닿지는 않는 것 같습니다 . 제 머릿속에 막연하게 떠오르는 이미지는 대략 아래와 같은데요 .

[5월호, 2021년] #47 동물복지와 지속가능성 - 7기 정하연

  SDP 리서치팀 7 기 정하연 동물복지와 지속가능성 동물복지란 ?   동물복지 . “ 동물이 건강하고 안락하며 , 좋은 영양 및 안전한 상황에서 본래의 습성을 표현할 수 있으며 , 고통 , 두려움 , 괴롭힘 등의 나쁜 상태를 겪지 않는 것 ” 을 말한다 ( 국제수역사무국 , OIE). 사육 과정에서라도 쾌적한 환경에서 동물의 스트레스를 최대한 줄이고 그들의 건강을 유지하자는 취지에서 제시된 개념이다 . 그냥 들었을 때에는 막연하게 윤리적 소비의 일환이라고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동물복지는 단순히 인간의 이기심으로 인해 고통 받는 동물에 대한 배려 차원을 넘어 인간과 동물의 공존, 인간의 이로움을 위해서도 필요한 컨셉이다. 동물복지가 어떻게 구체적으로 지속가능성과 연결되는지는 아래에서 다시 살펴보도록 하겠다.  

[5월호, 2021년] #46 하수 재이용의 필요성과 사례 연구 - 7기 진희주

  SDP 7기 진희주 Sewage Reuse 하수 재이용의 필요성과 사례 연구

[5월호, 2021년] #45 담배와의 전쟁, 그리고 숨겨진 마케팅 전략 - 7기 김재현

  담배와의 전쟁, 그리고 숨겨진 마케팅 전략 7기 김재현 담배의 역사는 약 8000 년으로 추정된다 . 기원전 5000 년경 멕시코에서 재배하기 시작하였고 , 콜럼버스의 신대륙 발견 이후 유럽으로 넘어가 전 세계로 나아가게 되었다 . 담배의 역사는 오래되었지만 , 담배가 유해하다는 것을 인지한 것은 50 년 밖에 안된다 . 1901 년에는 미국에서 최대 35 억개의 담배가 팔렸을 정도로 담배 사업은 호황기였다 . 사람들은 담배가 유해하다는 것을 인지하지 못했고 하나의 기호 식품으로 여겨졌다 .

[5월호, 2021년] #44 당신의 여행은 지속가능한가요? - 7기 강민정

  당신의 여행은 지속가능한가요? 7기 강민정   ‘분노의 여행’ 작년 12월 한국문화관광연구원이 발표한 '포스트 코로나 시대 문화·관광 전망 설문조사'에 따르면 국민 10명 중 7명은 코로나19가 끝나면 가장 하고 싶은 여가활동으로 여행을 꼽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렇다면 코로나19 이후의 여행은 어떤 양상을 띠게 될까? 한 기사는 코로나19가 끝나면 억눌렸던 여행 욕구가 한꺼번에 분출되어 충동적 여행 트렌드가 나타날 것으로 전망했다. 이를 ‘분노의 여행‘(Revenge travel)이라 이름 붙였는데, 글로벌 예약 플랫폼 익스피디아가 글로벌 소비자를 대상으로 실시한 ‘2021 익스피디아 업그레이드’ 결과를 보면 전체 응답자의 87%, 한국의 경우 84%가 올해 충동적으로 행동할 계획이 있다고 답했다.  

[5월호, 2021년] #43 ESG 투자와 정보 체계 - 7기 유신형

  ESG 투자와 정보 체계 7기 유신형   기업과 투자자들 사이에서 ESG (Environment, Social, Governance) 트렌드가 계속되면서 기업의 ESG 이행을 평가하는 평가 기관과 기업의 ESG 공시의 중요성이 각광받고 있습니다 . 그러나 정보에 대한 수요가 갑작스럽게 증가하면서 , 이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는 ESG 정보 체계와 관련된 여러 혼란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 이번 포스트에서는 현재 ESG 정보 체계의 문제점부터 투자자를 위한 시사점까지 짚어보고자 합니다 .   전세계적으로 100 개 이상의 ESG 평가 기관들이 존재합니다 . ESG 평가는 신용 평점과 비교했을 때 평가자 간 이질성을 보입니다 . 아래 표 (Figure 1) 에서 , 신용 평점은 세 기관의 점수 간 차이가 거의 나지 않습니다 . 그에 반해 다섯 개 평가 기관이 열 개 기업에 대한 ESG 평가 점수를 각각 매겼을 때 , 점수 간의 격차가 심하게 나타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

[5월호, 2021년] #42 Significance and Challenges of implementing Universal Healthcare - 7기 김재현

  Significance and Challenges of implementing Universal Healthcare 7기 김재현 In 2010, a revolutionary act was passed in congress and was signed by President Obama. It was the Patient Protection and Affordable Care Act, a set of health insurance and industry reforms. It was definitely desperate for the nation since nearly 50 million Americans without insurance and FamiliesUSA, a health care advocacy group that supports Obamacare, it was estimated that in 2012 that an American would decease every 20 minutes for deficiency of insurance. During Trump administration, this effort was erased because of political reasons. However, the current president Joe Biden is trying to revive it because we learned the importance of government-led healthcare due to COVID-19.

[4월호, 2021년] #41 녹색개미운동: 기후변화위기는 얼마나 비쌀까? - 7기 김유림

  녹색개미운동 : 기후변화위기는 얼마나 비쌀까 ? 7 기 김유림   최근 투자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짐과 동시에 환경 , 사회 , 지배구조 측면에서의 경영성과를 측정하는 ESG 에 관한 관심도 빠르게 늘고 있다 . ESG 펀드 , ESG 채권 등 ESG 투자에 대한 관심 덕분에 관련 투자상품이 다양하게 생겨나기도 했다 . ESG 투자가 전통적인 기업 분석에 의한 투자만큼 혹은 그 이상으로 수익성이 좋다는 기사를 접하면 기분이 좋아지곤 한다 . 그렇다면 ESG 에서도 E( 환경 , Environment) 와 관련하여 , 기후변화위기로 인해 가치가 높아지거나 낮아지는 금융자산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  

[Tech Team Insight #6] 협업 툴에 관하여 - 6기 신충현, 7기 진희주, 7기 이해은

  TECH-INSIGHT (03/2021)     6기 신충현, 7기 진희주, 이해은       협업 툴에 관하여   노션(Notion), 깃헙(Github), 팀즈(Teams)          

[4월호, 2021년] #40 Metal Straws, Now What? - 7기 김유진

  Metal Straws, Now What? 7기 김유진                                                https://thefoldingstraw.com/2018/07/19/the-turtle-video-that-changed-the-world/ In 2016, a team of marine biologists from Texas A&M University discovered a male olive ridley sea turtle amid their research in Costa Rica. It had a 10-12 cm long plastic straw stuck up in his nostril. The team shared a video of extraction, and the vividness of the turtle suffering catalyzed rampant anti-plastic straw movements all around the world. Not only civil campaigns like “Save the Turtles,” “One Less Straw,” “ 빨대이제는뺄때 ” have been actively calling for action but also the government, such as of South Korea (Kim, 2018) and the United Kingdom ( Department for Environment, Food & Rural Affairs [DEFR] , 2020), seem to have been hopping on the trend by b...

[4월호, 2021년] #39 국가별 SDG 이행 상황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 7기 조희승

  국가별 SDG 이행 상황을 어떻게 평가하는가 ? 7 기 조희승   지속가능발전목표에 대해 항상 학회활동을 하지만 정작 국가별로 총체적으로 지속가능발전목표이행 여부를 평가할 방법을 모르고 있다는 것을 깨달았다 . 이 궁금증을 바탕으로 이번 글에서는 SDG 이행 상황을 평가하는 VNR(Voluntary National Report, 자발적 국가 보고서 ) 을 소개해보고자 한다 .

[Research Team Insight #6] Phase4로의 도약을 위한 재정비 - 7기 강민정, 박주미

  Phase4 로의 도약을 위한 재정비 -       7 기 강민정 , 박주미   새학기가 시작되고도 벌써 한달이 흘러 거리에 꽃이 하나 둘 피어나는 봄이 찾아왔습니다 ! 봄은 언제나 새로운 시작으로 설레는 계절인 것 같습니다 . SDP 또한 이번 3 월부터 새로운 프로젝트에 착수했습니다 . SDP 의 Project MaPPPing 은 지난 1 년간 Phase 1, 2, 3 을 차례로 밟으며 발전해왔습니다 . Phase 1 과 2 에서는 World Bank 인프라 팀과 협력해 PPI Deal Tracking 을 진행했으며 Phase 3 에서는 앞서 구축한 데이터베이스를 시각화하여 SDP 만의 독자적인 Failure Map 을 제작했습니다 . 작년 8 월부터 시작된 Failure Map 이 점점 모습을 갖추어 감에 따라 SDP 내부에서 Phase 4 의 출범을 외치는 목소리가 커졌습니다 . 막 팀이 꾸려져서 의견을 모아가는 단계에 있지만 , Phase 4 는 Failure Map 을 통해 얻을 수 있는 인사이트를 모아서 전달하는 대시보드의 형태로 논의되고 있습니다 . 항상 미래를 생각하는 SDP 이지만 때로는 앞만 보고 달려가는 것보다 지금껏 걸어온 길을 돌아보는 것이 도움이 될 때가 있습니다 . 지난 2 월 말부터 3 월 초까지 SDP 리서치팀이 보내온 시간이 딱 그렇다고 생각합니다 . Phase 4 로의 도약을 앞두고 SDP 는 다양한 방법을 시도해보며 쌓아온 데이터베이스를 재정비하고자 노력했습니다 . 그 노력을 함께 알아볼까요 ?   1.     데이터 보충을 위한 시도 1)     크롤링 키워드 바꾸기 SDP 는 Phase 2 에서 World Bank 와의 협력 하에 코로나 19 의 영향으로 Delay 또는 Cancel 된 인프라 프로젝트를 크롤링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했습니다...

[4월호, 2021년] #38 디지털 뉴딜 - 클라우드와 블록체인 기술 -7기 이해은

  디지털 뉴딜 – 클라우드와 블록체인 기술  7기 이해은 본래 뉴딜 정책은 1930 년 미국의 경제 대공황 극복을 위해 당시 대통령이었던 프랭클린 루스벨트가 내놓은 경제정책입니다 . 오늘 소개할 ‘ 한국판 뉴딜 ’ 정책은 이에 착안하여 코로나 19 사태로 인한 경기 침체 극복 과제를 마주한 현 정부가 경제주체들의 행태 , 인식 등이 변화하면서 생긴 경제 , 사회 전반의 구조적 대전환에 대응하고자 마련한 국가 발전 전략입니다 . 이번 블로그 발제는 정책의 국가적 사업성 혹은 실현성에 초점을 맞추기보다는 디지털 뉴딜에 집중하며 국가적으로 주도되는 신기술 정책을 알아보며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예측해보고 인사이트를 공유하는 방향으로 진행하고자 합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