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Posts

Showing posts from January, 2021

[1월호, 2021년] 스마트 그리드, 전력망의 지능화가 이끌 미래 - 5기 김재원

    스마트 그리드 , 전력망의 지능화가 이끌 미래 5 기 김재원 우리는 전기 없이 살 수 없다. 디지털 세계가 광활해질수록 전력은 더 많이 필요하다. 세계 최대 가전 박람회인 CES2018 에서 정전 사태가 발생했다. 휘는 모니터, 지능형 로봇 등 최첨단으로 둘 러싸인 전시장이 한순간에 암흑으로 변했고, 어떤 기기도 동작하지 않았다. 이는 전기가 사라졌을 때 우리 삶이 마주하게 될 장면을 예고한다. 우리의 삶은 전력 의존적이고, 전기는 필수적인 재화이다.   4차 산업혁명을 주도하는 빅데이터, 인공지능 등은 모두 전력과 관련되어 있다. 전 세계적으로 전력에 대한 수요는 급증할 전망이기 때문에 전력을 어떻게 관리하는가, 하는 문제가 중요한 화두로 떠올랐다.   한편 전기는 발전 효율이 좋지 못한 에너지이다. 저장하기 힘들기 때문이다. 15년 기준 세계 최대 규모의 전력 저장장치가 공급할 수 있는 전력량은 약 16만 6600가구이다. 우리나라 인구가 6000만에 육박하는 것을 보면 턱없이 부족한 양이다. 그런데 전기는 부족하면 민생에 치명적인 재화이다. 전기가 부족한 상황을 방지하기 위해 한전에서는 예상 전력수요보다 약 15% 정도의 전력을 더 생산한다. 그 과정에서 불필요한 이산화탄소가 발생한다.     산업통상자원부는 20년 5월 6일 '포스트 코로나 8대 산업전략' 중 에너지 전환 전략에서 '소비 효율 향상'에 방점을 찍었다. 에너지 소비 효율을 높이려면 전력의 소비 현황을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어야 한다. 그에 대응해서 발전량을 조절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시간 전력 소비 현황 데이터 AI 의 결합을 통해 미래의 전력 수요를 예측할 수 있다면 더 효율적인 발전소 운영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발전 후 남는 전력 중 사용하지 않을 것으로 예상되는 전력을 발전소 간에 주고받을 수도 있다. 뿐만 아니라 실시간으로 전기료를

[1월호, 2021년] SDP Blogpost Interview : 작은 프로젝트 [기후불안초상연대] - 5기 복준환

  SDP Blogpost Interview : 작은 프로젝트 [ 기후불안초상연대 ]   Interviewer: 복준환 Interviewee: 윤민지   기획 의도 : SDG 에 관심과 작은 실천을 넘어서 가까운 미래에 우리가 나아갈 수 있는 방향을 알아보고 , 사회구성원으로서 자신이 가진 능력을 활용해 미래를 위해 조금 더 적극적인 변화를 도모하는 프로젝트에 대해 소개한다 .   Q 안녕하세요 . 간단하게 자기소개 부탁드릴게요 .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석사 과정생이자 녹색전환연구소 연구원 민지입니다 . 그림을 그리면서는 민 / 지라는 활동명을 사용하고 있어요 .

[1월호, 2021년] Are you aware of your Investments? - 5기 강인구

Are you aware of your Investments? 5 기 강인구   In our previous post, ‘ 코로나 19 로 본 ESG 와 자본주의의 新미래 ’ – 4 기 신서윤 , 5 기 이상연 ( https://sdpglobal.blogspot.com/2020/12/12-2020-19-esg-4-5.html ) , we introduced how Economic, Social, and Governance (ESG) of the company can be significant for a corporate individual. Some of the key ideas of this post includes ESG investment and the responsibilities of corporate identities to the social environment. (Refer to the post for further details.)

[1월호, 2021년] 성수동, 소셜벤처밸리로서의 도약 - 5기 권경민

  성수동 , 소셜벤처밸리로서의 도약 5 기 리서치팀 권경민 미국 서부 산타클라라 인근 계곡에는 반도체 칩들을 생산하는 기업들이 대거 모여 실리콘밸리가 탄생했습니다 . 그리고 실리콘밸리는 세계 IT 산업의 중심지로 자리매김하게 됩니다 . 한국은 한국형 실리콘밸리를 만들고자 IT 산업의 요람으로서 판교를 선정하고 테크노밸리라는 이름을 붙였습니다 . 실제 지리학적 의미보다 실리콘밸리가 가지는 상징적 이미지를 차용했다고 할 수 있습니다 . 이후 ‘00 밸리 ’ 는 단순히 전통적인 벤처 기업 및 IT 산업에 국한되지 않고 , 비슷한 사업의 기업들이 밀집해 있는 지역을 가리키는 대명사로 자리잡았습니다 . 해당 용어는 현재 소셜 섹터에서도 활용되고 있으며 , 이로 인해 한국 최초의 소셜벤처밸리가 탄생하게 되었습니다 .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국 소셜 임팩트의 성지라 여겨지며 약 300 여개의 소셜벤처와 관련 기관이 모여 있는 성수동 소셜벤처밸리에 대해 이야기해보도록 하겠습니다 .

[1월호, 2021년] 지속가능뷰티 - 코스메틱 업계의 ‘지속가능성’ 바람 - 5기 이상연

  지속가능뷰티 - 코스메틱 업계의 ‘ 지속가능성 ’ 바람 5 기 이상연   지속가능뷰티란 ? 오늘날의 소비자들은 소비를 통해서 의미를 찾는다 . 립스틱 하나를 살 때도 ‘ 착한 기업 ’ 의 제품을 구입하여 이를 인증하고 공유한다 . 이러한 소비 특성은 특히 MZ 세대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난다 . MZ 세대는 자신의 가치관에 부합하는 제품을 찾아 구매하는 특징을 띠며 , 이러한 소비 심리를 바탕으로 기업의 지속가능성과 윤리성이 그들의 구매 여부를 가르는 핵심 요인이 되었다 . 지속가능성 , 뷰티 업계에서는 오가닉 (Organic), 비건 (Vegan), 크루얼티 프리 (Cruelty-free), 케미컬 프리 (Chemical-free) 등 용어로 수식된다 . 하지만 이런 수식어는 내 피부에 안전한 것을 의미하며 , 진정으로 지속 가능한 뷰티는 단지 그것만으로는 부족하다 . 성분이 흡수되어 몸에 해를 끼치지 않아야 함은 물론이고 제품을 기획하고 , 제조 , 폐기하는 전 과정이 생태계의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  

[1월호, 2021년] 적정 기술의 지속가능성 - 4기 최강현

  적정 기술의 지속가능성 – 4 기 최강현   아침 8 시 , 휴대폰 알람에 눈을 뜬다 . 세수하고 졸린 눈을 비비며 정수기에서 뜨거운 물을 받아 커피를 내린다 . 커피를 마시면서 오늘 날짜의 인터넷 신문을 읽는다 . 아침에 일어난 지 30 분이 채 지나지 않아 당신은 전기 , 상하수도 , 인터넷을 사용했다 . 물론 우리 각자의 아침 모습은 모두 다르겠지만 , 우리는 종일 전기 , 상하수도 , 인터넷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   그러나 전 세계 인구의 11% 는 전기를 이용하지 못한다 [1] . 상하수도 는 30% [2] , 인터넷은 41.2% [3] 에 달하는 인구가 이러한 기술의 혜택을 받지 못하고 살아가고 있다 . 적정 기술은 이런 불평등을 해결하고자 하는 고민에서 탄생하였다 . 첨단 기술의 혜택을 받지 못하는 지역의 문제 해결을 위한 현지 친화적 기술적 접근이 바로 적정 기술이다 .   적정 기술과 지속가능성   적정 기술이란 선진국 위주의 기술 개발과 사용에서 벗어나 현지의 문화와 사정을 고려한 기술을   말한다 . 즉 , 각 지역의 필요와 직접 연결되어 지역 인력과 자원을 사용하는 데 초점을 맞추어 개발되는 기술이기 때문에 복잡하지 않고 저렴하며 생산과 유지보수에 전문 인력이 필요하지 않아야 한다 [4] . 그에 더하여 사용 방법이 간단하여 특정한 지식 없이도 사용할 수 있어야 하며 재생 가능한 에너지 자원을 최대한 활용해야 한다 .   적정 기술의 또 다른 개발 목표는 지역사회의 양적 , 질적인 발전을 추구해야 한다는 것이다 . 적정 기술이 현지에 적용될 때 , 지역주민이 스스로 제작할 뿐만 아니라 사람들의 협동을 이끌어 내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