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main content

Posts

[Series] 도시재생 - 3

  지속가능성과 도시재생 - 3 도시재생의 성공과 실패에 관하여   6 기 김송이 , 7 기 강민정 , 7 기 이지현   <1> 젠트리피케이션과 그 해결책으로서의 도시재생 <2> 도시재생에 모니터링이 필요한 이유 <3> 도시재생의 성공과 실패에 관하여     앞선 도시재생 글에선 ‘ 젠트리피케이션과 그 해결책으로서의 도시재생 ’, ‘ 도시재생에 모니터링이 필요한 이유 ’ 에 대해 다뤘다 . 도시재생 세 번째 글은 도시재생의 사례를 살펴보려 한다 . 특히 이번 글은 성공사례와 함께 실패 사례도 담고 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 대부분의 도시재생 사례 조사는 성공 사례만을 담고 있고 , 이를 보는 사람들은 도시재생의 좋은 점만 볼 수밖에 없다 . 그러나 분명 실패한 도시재생도 있다 . 다만 우리가 아직 모를 뿐이다 .   그렇다면 도시재생의 성공과 실패를 가르는 기준은 무엇일까 ? 김송이 학회원의 글 , ‘ 도시재생에 모니터링이 필요한 이유 ’ 에서 보았듯 , 한국은 도시재생의 성패를 모니터링할 제도가 없으며 , 성공한 도시재생과 실패한 도시재생을 명확히 판단할 기준이 없다 . 이번 글에서 소개할 사례를 통해 어떤 도시재생이 성공 또는 실패한 프로젝트인지 , 도시재생 모니터링의 판단 기준은 무엇이 되어야 할지 등에 대해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으면 한다 .  
Recent posts

[Series] 지속가능성과 경제 - 3

  지속가능성과 경제 - 3 Carbon Price Tag   최근 EU 에서 ‘탄소국경세’를 도입하겠다는 정책안을 내놓았다. 탄소국경세, 즉 탄소국경조정제도( CBAM) 란 유럽 역외 지역에서 생산된 제품에 대해 해당 제품을 생산하는 과정에서 발생한 탄소배출량이 많을수록 높은 가격을 책정하겠다는 제도이다. 탄소국경조정제도 외에도 탄소배출관련규제가 더 강화되면서 수출 의존도가 높은 자동차 등의 산업이 대책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에 나섰다. EU 에 이어 미국 역시 탄소국경세를 도입하겠다는 의사를 비치고 있다. 갑자기 왜 이런 규제가 주목받게 되었을까?

[Research Team Insight #7] Mapping 2021-1 Research Team

  [Research Team Insight #7] Mapping 2021-1 Research Team   1. 리서치 기존 업무 관련 ( 프맵 , 프맵 4, 먹거리 , 문집 ) 2.   새로운 프로젝트 기획 관련 (SASM, USEG, 자막이 ) 3. 전반적으로 느낀 점 및 앞으로 기대되는 점 ( 전반 , 학회원에 대한 , 8 기 지원자에게 할 말 등 )   < Part 1 – 1 학기 리서치 팀의 업무 >   1. 2021 년 상반기에 리서치팀에서는 어떤 일들이 있었나요 ?   두 부분으로 나눠 말씀드릴 수 있을 것 같습니다 . 초반에는 프로젝트 맵핑의 Failure Map 공개를 목표로 데이터 보충과 재분류 , 지도의 컨텐츠 개선 업무가 주를 이루었어요 . Failure Map 을 publish 한 이후에는 오류가 있는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검수하고 프로젝트 맵핑 문집을 준비했습니다 .     앞선 리서치 인사이트 글에 자세히 설명되어 있어서 , 앞 부분은 간략히만 설명해 볼게요 . 데이터 보충은 더 많은 양의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해 진행된 단계였습니다 . 월드 뱅크 PPI 기준과는 다른 Failure Map 만의 기준을 마련하여 연기되거나 , 취소된 PPP 프로젝트를 수집해 데이터 베이스를 구축했습니다 . 테크팀이 만들어주신 크롤러를 활용하여 PPP 관련 기사를 확인하고 , 저희 기준에 적합한지 검토하는 과정을 거쳐 데이터를 기록했습니다 .   또한 , 데이터 수집 기준을 수정하고 , Failure Map 에서 제공할 추가적인 컨텐츠에 대해 논의를 진행했습니다 . 프로젝트 맵핑 데이터를 통해 도출할 수 있는 인사이트가 무엇일지 고민하기도 했고 , 이를 시각적으로 표현할 방법을 함께 의논했어요 . 데이터 수집 기준에 다른 해석의 여지가 존재하는 모호한 부분이 있었는데 , 그러한 기준을 통일 및 수정하기 위해서도 논의를 거듭...

[Series] 도시재생 -2

  도시재생에 모니터링이 필요한 이유 6 기 김송이   시청이나 구청 등 공공기관 건물을 지나다 보면 ‘ 도시재생 ’ 을 홍보하는 현수막을 심심찮게 볼 수 있습니다 . ‘00 구 도시재생 사업 선정 ’, ‘ 🔺🔺 시 혁신 재생 ’ 등의 홍보물을 지나치며 재생 사업이 과연 진행 중 인걸까 궁금해지는 건 당연해 보입니다 . 2017 년부터 도시재생뉴딜사업으로 매년 100 건의 사업이 선정되어 왔는데 , 수많은 사업이 어느 정도의 도시재생을 실현했는지는 어떻게 파악할 수 있을까요 ? 도시재생 사업 모니터링과 지표 설정이 중요한 이유입니다 . 한국의 도시재생 정책은 2014 년 본격화된 이후 2017 년 ‘ 도시재생뉴딜 ’ 이라는 명칭으로 전환되었습니다 . 이름만 바뀐 것이 아니라 도시가 골머리를 앓고 있는 근본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국가 차원의 종합적인 접근이 필요하다는 분석 아래 주요 국정과제로 선정되었습니다 . 도시재생뉴딜은 지역 공동체를 중심으로 노후 주거지와 쇠퇴한 구도심을 활성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 구체적으로는 1) 주거복지 및 삶의 질 향상 , 2) 도시 활력 회복 , 3) 공동체 회복 및 사회통합 , 4) 일자리 창출이라는 정책 목표 아래 진행되고 있습니다 . 국토연구원에 따르면 지난 2017 년부터 2019 년까지 총 265 곳의 사업지가 선정되었습니다 . 사업의 유형은 다섯 가지로 나뉘며 , 일반근린형 , 주거지지원형 , 중심시가지형 , 우리동네살리기 , 도시경제기반형 순으로 비중이 높습니다 . 도시재생뉴딜사업은 매년 당해 몇 개의 사업 수를 선정할 것인지를 비롯한 공모계획과 가이드라인을 발표한 뒤 지방자치단체가 준비할 수 있도록 추진됩니다 . 중앙 공모와 광역 공모로 나누어 사업을 선정하며 , 지자체가 사업 유형과 수를 유연하게 조정할 수 있는 자율성을 확대하고 있기도 합니다 . 여기에서 도시재생뉴딜사업에는 선정 과정에서부 터 다양한 이해관계자가 개입되는 모습을 몰 수 있습니다 . 도시...

[Series] 지속가능성과 IT - 2

데이터 센터의 에너지 사용 문제 , 어떻게 해결 가능할까 ?   SDP 7 기 이해은        IT 를 근간으로 하는 정보기술 혁명은 4 차 산업혁명으로 명명되는 새로운 산업구조의 가장 큰 축이다 . 본 산업구조의 가장 큰 특징은 노동의 결과가 ‘ 데이터 ’ 라는 이름으로 기록된다는 것이다 . 그 결과 데이터는 새로운 유형의 자산가치가 되었고 , 그 양 또한 전 세계적으로 점점 방대해져 가고 있다 . IT 기업들은 이 데이터를 보관하기 위해 커다란 규모의 데이터 센터를 운영한다 . 데이터 센터의 전기는 365 일 24 시간 공급되어야 한다 . 온라인 세계는 생태계를 구축해 놓고 나면 기본적인 운영에 노동력이 필요하지 않기 때문에 오프라인과 다르게 운영 시간이 존재하지 않는다 . ( 이슈의 해결 , 시스템의 유지 보수가 필요한 경우 등의 예시를 제외하고 ) 만약 한 포털 사이트가 < 우리 포털은 월 - 금 오전 9 시부터 오후 6 시까지만 검색이 가능합니다 .> 식의 운영 정책을 펼친다면 누구도 이 서비스를 이용하려 하지 않을 것이다 . 결국 , 언제 사용자가 서버에 데이터를 요구할지 모르니 항상 서버의 전원은 켜진 채로 데이터를 공유할 준비를 해야 한다 . 뿐만 아니라 데이터의 보관에 사용되는 컴퓨터의 숫자도 어마어마하다 .      어마어마한 숫자의 컴퓨터가 항상 켜져 있는 데이터 센터는 정보통신 분야에서 단일 시설로는 최대규모 전력을 소비하고 있다 . 하지만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에만 에너지가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 데이터가 오가는 과정에서 사용하는 전력량 또한 굉장하다 . 케임브리지 대학 ‘ 케임브리지 비트코인 전기소비 지수 ’ 에 따르면 , 한 해 비트코인 채굴에 들어가는 전력량은 74.01 테라와트시 (TWh) 로 추정되며 이는 칠레와 같은 남미 국가의 한 해 평균 전력 소모량을 능가하는 수치이다 .   ...